본문 바로가기

체언4

체언과 조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 한국어의 체언과 조사에 대해 설명해 드릴 티차라고합니다. 오늘은 체언과 조사중에서 수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수사 수사는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품사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가. 나는 사과 하나를 사 왔다. 나. 입상자 가운데서 첫째가 철수이고 둘째가 현철이다. 가의 '하나'는 이에 앞서는 '사과'의 수량을 가리키고 나의 '첫째, 둘째'는 역시 이에 앞서는 '입상자'의 순서를 가리킨다. 대상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수사는 대명사와 비슷합니다. 이런 점을 중시하여 수사를 대명사에 편입시키는 문법학자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명사와는 다르다는 사실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대명사는 같은 대상이라도 상황에 따라 달리 표현되지만 수사는 그렇지 않습니다. '사과'라는 대상을 이름 대신 '이것'으로 지시할.. 2022. 6. 30.
체언과 조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한국어의 체언과 조사에 대해 설명해 드릴 티차라고합니다. 오늘은 체언과 조사중에서 대명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대명사 대명서는 사물에 이름을 붙이지 않고 다만 가리키기만 하는 품사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가) 너는 거기서 무엇을 찾느냐? (나) 일행은 서울역에서 내렸다. 거기서부터 절까지는 걷기도 하였다. (가)의 '너'는 사람의 이름에 대용될 수 있는 말이고 '거기'는 '방, 마루' 등 구체적 장소를 대신할 수 있는 말입니다. (나)의 '거기'는 앞의 문장에 나타나는 '서울역' 대신 쓰인 말입니다. 이렇게 대명사는 명사를 대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의 '무엇'은 미지의 대상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대명사란 용어도 이런 관점에서 붙여진 것입니다. 그러나 대용성을 끼었다고 해서 모두 대.. 2022. 6. 29.
체언과 조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2) 한국어의 체언과 조사에 대해 설명해 드릴 티차라고합니다. 오늘은 체언과 조사중에서 의존명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 명사는 자립성의 유무에 따라 자립명사와 의존명사로 나누어집니다. 4.(가) 사람, 어른, 물건, 일, 장소 (나) 이, 분, 것, 바, 데 (가),(나)는 비슷한 의미를 지닌 명사끼리 서로 짝을 지어 놓은 것입니다. (가)는 그 앞에 다른 말이 얹히지 않아도 자립할 수 있습니다. 반면, (나)는 다른 말이 얹히지 않으면 비분법적인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4.(가) 사람이 온다. cf. 그 사람이 온다. (나)것이 많다 cf. 살 것이 많다 (가)의 명사와 같이 얹히는 말, 곧 관형어가 오지 않아도 문장 구성에 지장을 받지 않는 명사를 자립명사 (나)의 명사와 같.. 2022. 6. 27.
체언과 조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한국어의 체언과 조사에 대해 설명해 드릴 티차라고합니다. 오늘은 체언과 조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명사 명사의 특징 : 명사는 일반적으로 사물의 이름을 가리키는 품사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1. (가) 어머니, 사람, 고양이, 늑대 ..... (나) 꽃, 돌, 바위, 책상. 풀 ..... (다) 아침, 바람, 노을, 낮 .... (라) 개념, 명제 .... (가)는 인물이나 동물을 가리키는 명사입니다. 이런 부류의 단어들이 가리키는 대상은 감정을 표현할 줄 안다고 하여 유정명사라고 합니다. (나)는 물체를 가리킵니다. 이런 말들이 가리키는 대상은 감정표현의 능력이 없으므로 무정명사라고 합니다. (가),(나)의 명사들은 눈으로 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구체적 대상을 지시하므로 .. 2022.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