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분류2 품사분류의 기준과 실제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2) 안녕하세요. 품사분류의 기준과 실제에 대해 설명해 드릴 티차라고 합니다. 오늘은 품사분류의 기준과 실제중에서 품사분류의 실제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품사분류의 실제 전통적인 품사분류에서는 의미, 기능, 형식 가운데서 기능이 우선적으로 고려됩니다. 먼저 기능을 중심으로 국어의 품사를 가르고 다음으로 형식에 따른 분류를 제시합니다. 명사, 대명사, 수사 - 체언 : 1. 리리가 동화를 읽었다. 2. 나도 그것이 더 좋다. 3. 사과 하나가 떨어졌다. 1의 '리리, 동화'는 각각 사물의 명칭을 표시합니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의미의 기준을 충족시키므로 명사[이름씨]이라고 합니다. 2,3도 같은 의미 기준에 따라 대명사[대이름씨], 수사[셈씨]로 묶입니다. 2의 '나, 그것'은 명사를 대신하여 쓰는 말이.. 2022. 6. 25. 품사분류의 기준과 실제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1) 안녕하세요 품사분류의 기준과 실제에 대해 설명해 드릴 티차라고 합니다. 오늘은 품사분류의 기준과 실제 중에서 품사분류의 기주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품사란 품사란 단어를 문법적 성질의 공통성에 따라 몇 갈래로 묶어 놓은 것입니다. 품사를 주시경은 처음엔 '기'라고 불렀으며, 나중에는 '씨'라는 말로 바꾸었습니다. '씨'를 비롯한 우리말 문법용어는 최현배에 의해 확대되었으며 사용되었습니다. 그럼 우리 국어에는 몇 개의 품사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역대의 문법가들은 적으면 5품사에서 많게는 13품사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품사분류가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렇게 의견이 다른 이유는 단어를 보는 눈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며, 품사분류에 대한 기준의 차이 또한 커다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품사분류의 .. 2022. 6. 24. 이전 1 다음